▶영산회상 개요
영산회상은 한국의 전통 음악으로 거문고, 가야금, 해금, 대금, 장구, 피리 등 다양한 악기로 연주되는 조곡이다. 총 9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각 곡은 서로 다른 분위기와 느낌을 가지고 있다. 한국의 아름다운 선율과 예술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크게 기여를 하고 있는 음악이다.
▶역사
13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, 이 음악은 불교의 경전인 '영산회경'에서 이름을 따왔을 정도로 불교음악에 주로 사용되었다.'영산회경'은 부처님이 영산회에서 설법한 내용을 담겨 있다. '영산회'는 부처님이 설법을 위해 모인 장소를 의미한다. 그 후 조선시대에 크게 발전했으며 문인들이 영산회상을 칭송하는 시를 많이 남겼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.
▶구성
: 총 9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.
상영산 | 영산회상의 시초가 되었던 영산회상불보살의 원곡에 가장 가까운 곡이다. |
---|---|
중양산 | 상영산의 가락을 풀고 변주된 곡이다. |
세영산 | 중영산의 가락을 훨씬 더 정리하고 풀어서 줄인 곡이다. |
가락덜이 | 세영산을 다시 이것저것 쳐내어 정리한 짧은 곡이다. |
상현도드리 | 수연장지곡과 같이 6박의 도드리장단에 얹어 연주한다.여기서부터 장단이 바뀌기 시작한다. |
하현도드리 | 상당히 낮은 선율로 진행된다.워낙이 음이 낮아서 저음역 담당인 대금과 거문고의 합주가 주가 된다. |
염불도드리 | 1장에서 2장중분까지는 상현도드리와 별 차이가 없다가 3장부터 미친듯이 빠른 속도로 내달린다.9곡중 가장 빠르다. |
타령 | 능청능청 흔들어제끼는 곡이다.꼭 절에서 속세로 내려오는 기분이 든다. |
군악 | 곡의 마지막 답게 매우 힘차고 화려하다.모든 악기들의 콜라보와 함께 전율을 느낄수 있다. |
▶종류
: 일반적으로 영산회상이라 하면 현악 영산회상을 지칭하긴 하지만, 악기의 편성에 따라서 총 3가지 종류의 영산회상이 존재한다.
현악 영산회상 | 원곡인 '연산회상 불보살'과 가장 가깝다.제목 그대로 거문고,가야금 같은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편성으로 연주를 하기에 부드럽고 단아한 느낌이 많이 난다. |
평조회상 | 대규모 관현악 편성으로 연주한다.그리고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구성 된다.이 곡은 대금의 독주가 매우 유명한것으로 알려졌다. |
관악 영산회상 |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곡이다.연주자들이 왠만한 노력을 하지 않고선 연주가 힘들정도의 난이도다.그정도로 난이도가 높기때문에 완성도가 높은 곡이 나오면 압도적인 찬사를 받기도 한다.당연히 여기 관악 영산회상을 보고 듣는 맛이 최고로 꼽힌다. |
▶마무리
위의 글을 읽고 난 뒤에 영산회상 연주 동영상을 본다면 느껴지시는 게 다를 것이다. 아무래도 아무것도 모르고 듣는 거와 조금이라도 지식을 갖추고 듣는 것은 듣는 한도에서 엄청난 차이가 난다. 시간이 되실 때 한번 들어보시는 걸 추천한다. 우리나라에도 이렇게나 아름답고 화려한 전통음악이 있다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.
*다음 포스팅을 보시길 추천합니다.
대취타 : 대한민국 전통 행진곡
▷대취타란? 대취타는 조선시대에 처음 생겨나 그 후에는 조선시대에 왕의 행차나 군대의 출정 때 연주되던 군례악으로 사용되었다. 태평소, 나발, 나각과 같은 관악기와 자바라, 용고, 장구와
singandsong.tistory.com
'음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풍물놀이 : 춤추고 노래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 문화 (10) | 2023.06.04 |
---|---|
심청가 : 효를 주제로 한 가장 슬픈 판소리 (8) | 2023.06.02 |
대취타 : 대한민국 전통 행진곡 (8) | 2023.06.01 |
종묘제례악 : 조선 왕들의 제사 때 연주하는 음악 (13) | 2023.05.31 |
춘향가 : 판소리를 통한 신분을 초월한 사랑 이야기 (11) | 2023.05.31 |